티스토리 뷰
이수화학은 최근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을 인적분할 하면서 2 거래일 연속 동반 상승을 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수화학 주요 사업을 알아보고, 재무와 차트를 분석하여 향후 주가 흐름이 어떻게 될지 전망 및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요사업
이수화학은 1969년 창립 이래 LAB, NP, BAB 등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LAB는 연간 180,000 MT 규모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세계적인 기업으로 1999년 포브스 선정 세계 100대 우량 중견기업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그린바이오 사업은 2017년 그린바이오사업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2019년 중국 신장성에 스마트팜을 준공했습니다. 2021년에는 의성군 청년농업인 스마트팜 조성 단지 민간위탁 선정 등 스마트팜의 설계와 시공 온실플랜트 구축부터 ICT 영농 재배와 과일채소 유통까지 전체 벨류체인에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수화학은 2022년 11월 정밀 화학 사업을 하는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을 인적 분할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따라서 이수화학은 그린바이오와 수소 산업에 집중하고,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로 쓰이는 황화리튬 사업은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맡습니다.
▣ 재무분석
※ 이수화학 재무상태 요약
- 코스닥 517위 기업으로서, 시가총액은 7,139억 원이며, 주당 5,000원입니다.
- PER는 24.86배이며, BPS(주당 순자산)는 1,441원, EPS(주당 순이익)는 182원입니다
석유화학사업은 이수화학의 주력 사업으로 합성세제 원료와 그 부산물을 제조, 가공, 판매하고 있습니다. 띠라서 석유화학 사업이 주력 사업인 만큼 매출 비중이 76.7%에 달합니다. 지난해 2022년 실적을 보면 매출은 2조 2000억 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29.6%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만 놓고 보면 35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56.1% 감소해 사실상 돈을 벌지 못했습니다. 다만 글로벌 기업과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 규모를 확보했고, 이를 바탕으로 2023년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3% 증가한 4,793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 주가흐름 및 차트분석
이수화학이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을 인적분할한다고 밝히면서 이수화학은 4월 27일부터 거래정지가 되었는데, 그 거래정지가 해제되자마자 연일 급등세를 보이며 상한가를 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수화학 주가를 보면 올해 1월 8,775원을 기록한 뒤 시장과 함께 주가가 오르기 시작해 오늘 6월 1일 기준 30,800원으로 장 마감했습니다. 지난 4월 말에 주가 흐름이 좋지 않았는데, 인적분할로 거래가 정지되면서 덕분에 하락세를 피한 효과를 봤습니다.
▣ 이수화학 주가 전망 및 분석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거래가 풀린 5월 31일 이후 이수화학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수화학은 정밀화학과 전고체 전지소재 사업도 병행하고 있었습니다. 연초부터 국내 증시가 좋은 흐름으로 상승하기도 했고, 전고체 관련주가 신성장 사업으로 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며 이수화학 주가도 많이 올랐습니다.
증권업계에서는 이수화학의 인적분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입니다. 기존의 복잡한 사업구조에서 성장사업만 분할되었기 때문에 그만큼 사업의 가치가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이수화학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황화리튬을 양산하는 업체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다만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황화리튬 관련하여 기술 개발과 양산이 쉽지 않아 실패 가능성도 열어 놓고 생각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그리고 에코프로비엠과 황화리튬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에코프로 그룹의 주가 동향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