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청년도약계좌는 적금상품으로, 납입액과 정부 기여금 및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매월 최대 40~70만 원씩 납입하면 소득 수준과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지원됩니다. 그러면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 내용 및 지급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기여금 지원을 알아보기 전에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을 우선 알아야 합니다. 간략하게 가입조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3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할 수 있습니다.

 

 

 

1. 청년 : 만 19~34세

  •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경 계산에서 미산입 됩니다. 예를 들어 군복무 2년을 했다면 만 36세까지 신청가능합니다.

2. 가구소득 기준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기준-중위소득표
기준 중위소득표

 

3. 개인소득 기준 

  • 총급여 기준 6,000만 원 이하 : 정부 기여금 지급 + 이자소득 비과세 적용
  • 총급여 기준 6,000~7,500만 원 :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만 적용
더보기

즉, 정부기여금을 지급받으려면 개인소득이 총 급여 기준 6,0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기여금 지급 한도

 

청년도약계좌는 서두에 말씀드린 대로 적금상품이므로, 본인 납입액과 정부기여금, 그리고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더보기

※ 최종 만기수령액 = 본인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경과이자 (이자소득 : 비과세 혜택)

 

 

 

▶ 기여금 지원

 

매월 최대 40~70만 원씩 납입하면 본인의 개인소득 수존과 본인의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차등 지원됩니다.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본인 납입한도(월)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2,400만원 이하 70만원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이하 - - -

 

위 매칭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오히려  많은 기여금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득구간별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소득이 2,400만 원(총 급여 기준) 이하인 경우, 기여금 지급한도 최대 40만 원에 대해 기여금 매칭 비율 6%가 적용되어 최대 2.4만 원의 기여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본인 납입한도(월 70만 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을 납입하더라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한도를 별도 설정한 겁니다.

 

그리고 말씀드린 대로 총급여 기준 6,000만 원~7,500만 원 이하인 경우, 기여금은 지급받지 못하고, 대신에 이자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습니다.

 

※ 금리구조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5년 만기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아울러 3년을 초과하여도 고정금리가 지속 적용될 수 있는 상품도 출시할 수 있도록 취급기관과 합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또한 저소득층 청년(예: 2,400만 원 이하)을 보다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부여할 수 있도록 이 또한 취급기관과 협의 중이라고 합니다. 이는 취급기관이 확정되면 취급기관별 금리 수준을 금융협회 홈페이지 등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