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6월 출시 운영 예정인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만 19세~34세의 청년이어야 하며,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 여기서 중위소득이 생소할 수 있을 텐데, 가구 중위소득 180% 뜻과 어떻게 산정하는지 계산방법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 조건

 

가구 중위소득 180%를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조건을 간략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연령 기준 : 만 19세~34세 청년

더보기

군대를 다녀오신 분들은 군복무 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됩니다. 예를 들어 군복무 2년을 했다면 만 36세까지 조건이 됩니다.

 

개인소득 기준 : 개인 소득기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혜택이 차등 적용이 됩니다.

 - 총 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 : 정부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 적용

 - 총급여 기준 6,000~7,500만 원 :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만 적용

 

가구소득 기준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가구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뜻

 

▶ 기준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를 일렬로 줄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 중간값을 말합니다. 해마다 통계청을 통해 발표되는 자료인데, 정부의 여러 복지사업 등에서 수급 대상자를 선별하는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2023년 기준중위소득

 

2023년도 가구 기준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은데, 1인가구는 207만 원으로 작년대비 13만 원이 올랐습니다. 여기서 금액은 월소득 기준입니다.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기준중위소득 2022년 194만4812원 326만85원 419만4701원 512만1080원 602만4515원 690만7004원
2023년 207만7892원 345만6155원 443만4816원 540만964원 633만788원 722만7891원

 

위 100% 중위소득 금액을 기준으로 50%, 150%, 180%, 200% 등을 계산하면 되는데, 청년도약계좌 가구 중위소득 기준은 180%이기 때문에 100% 중위소득 금액 대비 1.8배의 가구소득을 의미합니다. 아래표에 비율별로 정리를 했는데, 중위소득 180% 기준 1인가구는 374만 원, 2인가구는 622만 원, 3인가구는 798만 원, 4인가구는 972만 원 이하가 되어야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이 되는 겁니다.

2023-기준중위소득표
2023 기준중위소득표

 

 

 

기준 중위소득 계산방법

 

복지로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 > '국민기초 생활보장'으로 들어오셔서 가구 구성원 숫자 선택 후 월 소득금액을 입력하면 기준중위소득 계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기준중위소득-모의계산-바로가기

 

조금 더 자세히 확인하려면 지출, 재산내역 등을 선택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