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2년보다 근로장려금 지급액이 10% 상향되었고, 재산 요건도 크게 완화되면서 지급액과 그 범위가 상향 조정됐습니다. 그러면 가구유형별로 받을 수 있는 지급액 계산방법이 달라지는데, 올해 2023년 근로장려금 지급일 및 지급액을 알아보겠습니다.
2023 근로장려금 지급일
근로장려금은 정기신청과 반기신청으로 나뉘는데,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정기신청 또는 반기신청 중에 선택해서 신청하시면 되고, 사업소득·종교인 소득자(근로소득자 포함)는 정기신청을 해야 합니다.
분류 | 신청기간 | 지급일 | 신청대상 |
정기신청(2022년 분) | '23. 5. 1. ~ 5. 31. | 8월말 지급 |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소득이 있는 거주자 (배우자 포함) |
기한후신청(2022년 분) | '23. 6. 1. ~ 11. 30. | 10월말 ~ 다음해 1월말 | |
하반기신청(2022년 분) | '23. 3. 1. ~ 3. 15. | 6월말 지급 | 근로소득만 있는 거주자 (배우자 포함) |
상반기신청(2023년 분) | '23. 9. 1. ~ 9. 15. | 12월말 지급 |
근로장려금 지급액 기준 및 계산 방법
근로장려금 지급액을 계산하는 방법은 가구유형별로 다르므로, 본인이 해당하는 가구유형에 맞춰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우선 가구유형별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지급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급액 기준
구분 | 단독가구 | 홑벌이가구 | 맞벌이가구 |
소득기준 | 2천2백만원 미만 | 3천2백만원 미만 | 3천8백만원 미만 |
지급액 | 최대 165만원 | 최대 285만원 | 최대 330만원 |
- 단독가구 : 말 그대로 1인 가구로서 배우자, 부양자녀(18세 미만), 부모님(70세 이상)이 없는 가구입니다.
- 홑벌이가구 : 배우자가 있지만, 홀로 소득을 올리는 가구입니다. 배우자의 소득이 있지만 연소득이 300만 원 미만이면 홑벌이가구에 속합니다. 또한 배우자가 없어도 부양자 또는 부모님이 있으면 홑벌이가구입니다.
- 맞벌이가구 : 소득활동을 배우자와 함께 하는 가구로서 총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가구입니다.
위 표는 가구별 최대 지급액을 기준으로 말씀드린거고, 가구별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지급액을 계산하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우선 홈택스 계산기를 이용해서 근로장려금 지급액을 모의로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해당 항목만 입력하면 지급받을 수 있는 예상 근로장려금 지급액을 바로 확인가능합니다.
▶ 지급액 계산방법
전년도 연간 부부합산 총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근로장려금 산정표에 따라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구유형 | 총급여액 등 | 근로장려금 지급액 |
단독가구 | 400만원 미만 | 총급여액 X 0.4125 |
400만원 이상 900만원 미만 | 최대지급액 165만원 확정 | |
900만원 이상 2천2백만원 미만 | 165만원-(총급여액-900만원)X0.1269 | |
홑벌이가구 | 700만원 미만 | 총급여액 X 0.4071 |
700만원 이상 1천4백만원 미만 | 최대지급액 285만원 확정 | |
1천4백만원 이상 3천2백만원 미만 | 285만원-(총급여액-1,400만원)X0.1583 | |
맞벌이가구 | 800만원 미만 | 총급여액 X 0.4125 |
800만원 이상 1천7백만원 미만 | 최대지급액 330만원 확정 | |
1천7백만원 이상 3천8백만원 미만 | 285만원-(총급여액-1,700만원)X0.1571 |
근로장려금 조건
가구구성에 따라 재산과 소득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소득조건
단독가구 | 2,200만원 미만 |
홑벌이가구 | 3,200만원 미만 |
맞벌이가구 | 3,800만원 미만 |
신청인과 배우자의 소득을 모두 합한 금액 기준이며, 여기서 인정하는 소득의 종류는 근로(총 급여액) 소득, 사업소득, 종교인소득, 이자(배당), 연금, 기타 소득 등입니다.
▶ 재산조건
보유재산도 근로장려금 지급여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모든 가구원이 보유한 재산은 2억 4천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재산에는 부동산, 자동차, 주택, 전세금, 주식 등이 포함됩니다. 참고로 부채도 재산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총 재산이 1억 4천만원 ~ 2억 원 미만이면 장려금 산정액의 50%만 지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