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5일 출시된 청년도약계좌는 일반적금과 비교해 만기가 5년으로 조금 길기 때문에 소득변동성이 큰 청년층의 중도해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중도해지할 때 유의사항과, 금융당국에서 생각하고 있는 중도해지 보완 및 방어 대책을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전에 중도해지할 경우에, 아래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되는 사유를 제외하고는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재가입은 허용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더보기 ※ 특별중도해지 사유 ① 가입자의 사망 및 해외이주 ② 가입자의 퇴사 ③ 사업장의 폐업 ④ 천재지변 ⑤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⑥ 생애최초 주택구입 재가입을 하고자 할 경우 해지 후 2개월이 경과해야 가능합니다. 그리고 재가입..
전자책 플랫폼 기업 '밀리의서재'가 기업공개 계획 철회 약 7개월 만에 코스닥 재상장에 도전합니다. 지난해 흑자 전환한 만큼 성장 가능성을 적극 어필할 전망입니다. 오늘은 밀리의서재 코스닥 재상장 전망, 주요사업 및 기업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요사업 및 현황 밀리의서재가 6월 1일 한국거래소 코스닥 상장본부에 예비심사를 청구했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해 다시 증시 입성에 도전합니다. 지난해 11월 상장을 철회한 지 약 7개월 만입니다. 여기에 총 150만 주가 시장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상장예정주식수(811,910주)의 18% 수준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발행주식 수(약 657만 주)와 비교해 보니 대부분 신주 발행으로 추정됩니다. 지니뮤직, 밀리, HB 유망 서비스산업투자조합 등 주요..
청년들이 5년간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의 은행권 최고금리가 6%로 확정되었으며, 6월 15일부터 본격적으로 신청을 받습니다. 그러면 최고금리 6%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가입하면 만기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액 계산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적금상품이며 본인 납입액과 정부기여금, 그리고 은행이자를 받을 수 있고, 그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최종 만기수령액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 최종 만기수령액 = 본인 납입금 + 정부기여금 + 은행이자(이자소득 비과세 적용)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 월 40만원에서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소득구간에 따라 3~6% 정부기여금..
형사재판을 받아야 하는데 변호사를 선임할 돈이 없을 경우, 무료로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국선변호사를 선임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국선변호사 선임방법, 비용, 선임요건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 국선변호인 선임방법 국선변호인 신청서를 법원에 직접 제출하거나, 대법원 국선전담 변호사 지원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법원 직접 제출 법원은 공소가 제기된 피고인에게 공소장을 보내면서 국선변호인 선정에 관한 고지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고인이 빈곤 및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개인적으로 변호사를 선임할 수 없을 때에는, 그 고지서 뒷면에 '국선변호인선정 청구서'가 인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그 청구서를 작성하여 청구서를 받은 때부터 7일 안에 법원에 제출하..